목록코딩 (374)
미새문지
유튜브의 코딩알려주는누나 영상에서 채팅앱을 만드는 강의를 듣고 작성한다. 코딩알려주는누나 강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E9Ncr6qInQ 다음 게시글 :https://moonmisae-cdpt.tistory.com/211 웹 소켓(Web Socket) 채팅 앱 만들기 - 유저 로그인코딩알려주는누나 웹소켓 강의 : https://www.youtube.com/watch?v=oFiw5VvgRFg&t=0s 이전 학습 내용:https://moonmisae-cdpt.tistory.com/209 웹 소켓(Web Socket) 채팅 앱 만들기 - 클라이언트 서버 연결유튜브의 코딩알려moonmisae-cdpt.tistory.com웹 소켓(WebSocket)웹 상에서 양방향 통신..
팀별 진행상황 확인각자 전날까지 어떻게 작업중인가 혹은 어떤걸 학습 중인가 공유했다.재희님은 화면의 기본적인 api를 작성중이였고 현우님은 도커를 이용해 우리가 작업한 코드들을 자동업로드로 배포되게 만든다고 했다. 그리고 인우는 텐서플로우 미디어파이프를 이용해 모션을 어떻게 잡아낼지 고민하고 있었다. 상림이형은 로그인 회원가입 백엔드랑 통신하는 코드를 학습 중이였다. 그리고 현우님이 상림이형의 진행상황을 잘 확인해달라고 해서 상림이형 어디까지 진행중인지 코드 잘 짜고있는지 확인을 자주자주 하기로 했다. 그리고 폴더 구조 관련해서 현우님 재희님 본인해서 셋이 회의를 좀 가졌는데, 현재 우리 프로젝트는 현우님이 만든 정글 4기 organization에 있고 그 안에 한 레포로 frontend와 backend..
피피티 완성해서 현우님한테 발표 연습 시키기기존에 만든 피피티에 기술적 챌린지와 기획 의도를 수정해서 현우님한테 줬다.기획의도는 조금 억지스럽긴 한데 실제로 노래를 좋아하는 팀원들이 많고 리듬게임도 좋아하는 팀원도 있어 어느정도 참작된다.기술적 챌린지는 실제로 우리와 비슷한 기술을 구현한 전 기수 분들의 프로젝트를 보며 필요한 챌린지를 가져왔다.1번 챌린지는 실시간으로 동시에 캠들이 보여져야 하고 영상이나 노래를 실행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백엔드가 많이 힘들거라 프론트에서 처리 가능한 부분은 프론트에서 대신 처리해 백엔드가 레이턴시 해결에 집중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2번 챌린지는 레이턴시 문제로 인한 딜레이와 판정 처리 등을 웹 캠 인원을 개별로 나눠서 각각 부하를 나눠갖는 식으..
이렇게 피그마 야무지게 만들어본 적은 처음이다.재희님이 기존에 포토샵을 작업했던 전적이 있어 진짜 맛깔나게 UI를 바꿔놨다. 일단 배경 색감부터 그라데이션으로 사이버 느낌의 청록색을 줬고 애니메이션을 넣을 부분까지 세세하게 작성했다. 다 못만들까 싶었는데 역시 다같이 대가리 박아보면 무조건 된다. 재희님과 상림이형 인우랑 다 같이 피그마 작업하고 이 페이지로 피피티를 작성해야 했다. 현우님은 일주일간은 AWS에 매진해야 한다고 하셨고 발표에 매진해야 해서 피피티를 본인과 재희님 둘이 작성하기로 했는데, 작성하면서 걸린게 기획의도였다. 솔직히 많은 기획이 반려당하며 뭘 해야 재밌을까 고민하다가 방향성을 게임으로 틀어 나온 기획인데 이걸 당위성 있게 의도를 잡아야 해서 좀 어려웠다.그래도 본인 팀 전부 노래..
코치님들에게 피드백을 받고 새로운 기획을 2개 짜서 발표해야 한다. 다들 발등에 불 떨어져서 찾아보던 중 웬만한 아이디어론 새로운 걸 찾기가 힘들어 기존에 있었던 아이디어에서 찾기로 했다. 본인은 갑자기 경매가 생각나서 중고물품 1분경매를 생각하게 되었는데, 경매를 올리면 5명 정도의 인원이 참여하여 각자 1에서 99의 숫자를 말한다. 고른 값들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중간을 찾아 그 값에 가까운 사람부터 경매의 순위를 매긴다.가장 우선순위를 가진 사람부터 5초 안에 입찰을 해야하고 5초가 지나면 자동 탈락된다. 입찰은 사이클 당 10%씩 오르며 첫 입찰은 1.1배 다음 순번이 돌아오면 1.2배 이런식으로 1분 안에 경매를 해가며 시간이 끝나면 입찰되어 있는 사람에게 낙찰되며 해당 경매자의 계좌번호와 ..
이번엔 애경관 먼저 발표를 하고 오후 4시에 교육관 2차 기획 발표를 했다. 우리는 AI를 이용한 자동 플랜 짜기, 공모주 순위 지정 기획을 발표했다. 두 가지 기획 다 같은 기술 스택을 가지고 있고 프로젝트 작업 이 후 기획한 컨텐츠까지 완료하면 three.js를 추가해 3D 요소를 넣으려고 했었다. 발표 이전의ppt라 빠진 부분이 많지만 대략적인 기획은 같다. 둘 중에 하나만 통과하면 추가적인 기획을 덧붙일 생각이였으나, 팀끼리의 기획 추가 부분 전달이 잘 되지 않았고 ppt에 자세한 설명이 적어 코치님들이 이해하기 힘들다고 혹평을 받았다. 그래서 현우님이 따로 추가 설명 및 다른 조언을 여쭤보고자 발표 후 라운지에서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기로 했다. 그리고 의외로 종문이네가 많이 쎈 피드백을 받았다...
현우님이 보내주신 기획 정리를 바탕으로 피그마에 작성을 시작했다. 어느정도 굳혀진 기획들을 작성해놓고 팀원들을 피그마에 초대해놨다. 근데 아마 다음 피드백 때 반려당할 확률이 좀 많기 때문에 다른 방안도 미리 생각은 해놓으려고 한다. 간단하게 현재 생각나는 기능만 플로우로 작성해놨는데 막상 정리하고 보니까 진짜 뭐가 없긴하다.. 좀 더 다른 방향성으로도 생각을 많이 해야될 것 같다. 여행에 어떤 느낌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가볍게 게임 엔진 로그인에 자주 보이는 형식으로 만들었다. 클라이언트 안에서 로그인할 수 있는 메이플 같은 형식으로 만들었다. 근데 로그인에 많이 투자를 하지 않고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구글로그인이나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는 방안도 생각했는데, 이 페이지는 버튼..
각자 사정이 있어 저녁에 있던 회의를 앞당겨서 3시반쯤 진행했다. 기획을 여러가지 생각해보는데 웬만하면 다 누가 만들어논 사이트가 있어 계속 확인해보는 중 재희님이 주식에 관련한 기획 아이디어를 냈다. 기존 공모주들의 지표에 따른 데이터 축적(학습) 학습할 데이터에는 상장 전 지표와 상장 후 지표가 있음 상장 전 지표: 공모가, 시가총액, 영업이익률, 기관경쟁률, 섹터( 종목의 분야), 보호예수 등등 상장 후 지표: 상장 당일 시초가, 시장가, 최고가, 최저가 등등 새로운 IPO가 있을 시 과거의 유사 사례들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초보도 이해할 수 있을법한 문장들 (비슷한 지표를 갖는 종목X 는 상장일 n% 올랐어요)을 사용하여 정보 제공 빅데이터 + 머신러닝 + AI ? 저런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