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rou
- 소켓
- 크래프톤정글
- JavaScript
- 모션비트
- HTML
- 백준
- 스택
- pintos
- 코드트리
- Vue.js
- 사이드프로젝트
- 정보처리기사
- 나만무
- userprog
- CSS
- TiL
- 큐
- 리액트
- 크래프톤 정글
- Flutter
- Java
- 자바
- 시스템콜
- 알고리즘
- 4기
- 자바스크립트
- defee
- 프로그래머스
- 핀토스
- Today
- Total
목록크래프톤정글 (6)
문미새 개발일지
System Call(시스템 콜) 어플리케이션 혹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커널에 요청을 보내는 인터페이스 즉, 사용자 모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시스템의 하드웨어 자원이나,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낮은 수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시스템 콜의 필요성 컴퓨터 시스템은 보안과 안정성을 위해 유저 모드(User Mode)와 커널 모드(Kernel Mode) 두 가지 실행 모드를 구분한다. 유저 모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직접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없으며, 이러한 제한은 시스템이 보안을 유지하고, 잘못된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따라서 하드웨어 자원에 접근하거나 운영체제의 특정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시스템 콜을 통해 커널에 요청을..
미니프로젝트가 끝나고 오늘부터 알고리즘 이론 학습 및 정글에서 선정해준 코테 문제를 풀기 시작했다. 파이썬은 문법들이 간결하게 나와있어 처음 코딩을 접하는 사람들에겐 좋을 것 같아 열심히 학습 중이다. 하지만 정글의 다른 동기들의 말을 들어보면 기존에 사용하던 언어가 습관이 되어 파이썬의 문법과 헷갈려서 작성하기 까다롭다고 하더라 오늘 푼 문제를 전부 올리는건 너무 길어질 것 같고 어려웠거나 헷갈렸던 문제들만 작성하려고 한다. 1. 백준 2739번 구구단 gugu = int(input()) for i in range(1, 10): print(gugu, "*", i, "=", gugu*i) 입력받는 n값의 구구단을 출력하는 문제여서 생각보다 쉬운 문제였지만 출력할 때의 문법이 기존의 언어들과 달라 ..
발표 전까지 각자 버그 수정과 짜잘한 기능을 넣었고 다른 팀원분들이 발표 ppt 제작과 서버 배포를 맡아주셨다. (AWS 서버 배포도 추후에 배우고 싶어 학습할 예정) 본인은 한거라곤 맡은 작업뿐인데 다른 팀원들이 발표 템플릿과 배포까지 다 해주셔서 더 고생하셨다. 오전 중에 발표 자료 보내고 오후에 발표를 시작했다. 발표는 팀원 한분이 하셨고 본인 포함 두 명은 추가적인 설명과 질문 답변을 위해 옆에서 대기했다. 정글의 후기에서 본 피드백이 쎌거라고 들은것과 다르게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점을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좋은 가르침을 받았다. 와이어프레임 피드백 때 추가해보라는 기능을 작성하지 못한게 너무 아쉬웠고 그 부분은 직접 언급함으로써 다음에 사용할 때가 있으면 꼭 넣어보려고 한다. 외에는 디자인적..
성찰 본인은 원래 전공이 IT분야가 아닌 토목과여서 코딩과는 연관이 아예 없었는데 공익근무를 하며 it업계에 있는 과장님과 친해지게 되어 컴퓨터 유지보수 업무를 배웠습니다. 업무를 배우며 컴퓨터에 관심이 생겨 pc정비사를 취득해 ict센터의 직원 유지보수나 헬프데스크로 취업 준비를 하려던 중 친구의 추천으로 인해 코딩 문제를 접하게 되면서 코딩에 관한 호기심으로 개발분야에 대해 고민하게 되며 인터넷에 올라오는 코딩 학원을 찾아 등록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고시원에서 생활했습니다. 학원의 커리큘럼은 5개월간 html 부터 spring까지 웹 개발 코스로만 구성되어 있었고, 강의 학습 후 팀프로젝트하는 파트로 반복되었습니다. 처음 코딩을 배우는 것도 있었고 학습이 남들만큼 빠르진 않아서 커리큘럼을 따라가기 ..
전 날에 푹 쉬고 강의장으로 와서 각 팀별로 선정한 주제와 기획안을 작성한 ppt를 발표했다. 본인 팀의 주제는 정글에서 버티기 위한 체력을 위해 운동할 사람을 구하는 프로젝트인데, 스케줄러에 운동할 종목과 시간을 기입해 작성해놓으면 운동 세션에 참여해 약속을 정해주는 페이지이다. 대표님과 코치님 등 현 멘토들이 오셔서 발표에 대한 피드백과 추가로 작업해볼만한 기능의 키워드를 제공해주셨다. 인터넷에 작성된 이전 기수의 후기글을 보고 따끔한 피드백을 받을까 긴장했는데 의외로 부드럽고 깔끔하게 설명해주셔서 좋았던 것 같다. 발표 이후 피드백 받은 개선점과 넣을 기능들을 기획에 추가하고 바로 팀원과 함께 작업을 시작했다. 본인이 맡은 포지션은 백엔드 - 로그인/회원가입 작업 원래는 화면 작업은 한 명이..
크래프톤 정글 4기에 합격하여 정글에 입소하고 첫 날, 오자마자 간단한 설명을 진행하고 바로 팀 프로젝트에 들어갔다. 정글에 적응하기 위한 미니프로젝트로 랜덤으로 정해진 두 명의 팀원들과 함께 세 명이서 어떻게는 작동되는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것 첫 날에는 각 팀마다 주제를 선정하고 와이어프레임을 작성해 다음 날까지 ppt를 만들어 발표해야 한다. 이전 기수 선배님들의 페이지들을 보고 현재 우리가 어떤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지 팀원들과 상의하며 하루 종일 같이 뭉쳐있었다. 정글의 표면적인 시간은 10 ~ 23시 지만 아마 다들 작업에 몰두하며 시간을 쏟을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하루 12~14시간은 잡고 열심히 노력해야 정글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 같다. 원래 입소하자마자 매일매일 작성해야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