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ML
- defee
- 리액트
- 크래프톤정글
- TiL
- Flutter
- 프로그래머스
- 정보처리기사
- 시스템콜
- Java
- 핀토스
- 사이드프로젝트
- corou
- 소켓
- 백준
- 나만무
- 알고리즘
- 모션비트
- 크래프톤 정글
- 자바스크립트
- userprog
- CSS
- JavaScript
- pintos
- 4기
- 자바
- 스택
- 큐
- Vue.js
- 코드트리
- Today
- Total
문미새 개발일지
크래프톤 정글 week14, day106 - 기획안 망가지고 서로 자는 중 본문
이번엔 애경관 먼저 발표를 하고 오후 4시에 교육관 2차 기획 발표를 했다.
우리는 AI를 이용한 자동 플랜 짜기, 공모주 순위 지정 기획을 발표했다.
두 가지 기획 다 같은 기술 스택을 가지고 있고 프로젝트 작업 이 후 기획한 컨텐츠까지 완료하면 three.js를 추가해 3D 요소를 넣으려고 했었다.
발표 이전의ppt라 빠진 부분이 많지만 대략적인 기획은 같다.
둘 중에 하나만 통과하면 추가적인 기획을 덧붙일 생각이였으나, 팀끼리의 기획 추가 부분 전달이 잘 되지 않았고 ppt에 자세한 설명이 적어 코치님들이 이해하기 힘들다고 혹평을 받았다. 그래서 현우님이 따로 추가 설명 및 다른 조언을 여쭤보고자 발표 후 라운지에서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기로 했다.
그리고 의외로 종문이네가 많이 쎈 피드백을 받았다. 종문이네 기획은 5명의 외계인이 지구로 내려와 사람의 몸을 지배해 각 신체부위를 움직이는 게임과 각 미로를 통과해 왕관을 먼저 차지한사람이 이기는 게임 두 개를 기획했었는데, 발표할 때는 재밌어 보였다. 근데 승현 코치님이 혹평을 많이 하셨는데, 굳이 5명이서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컨셉도 컨셉이고 혼자하는게 낫지 않았나 좀 별로다 박으시고 왕관차지게임도 단순히 폴가이즈 같고 특이점을 모르겠다. 다시 해와라 하셨다.
우리 기획도 이미 무너졌기 때문에 발표 끝난 후 라운지에서 코치님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 피드백 >
정훈 코치님
- 첫번째
- 라마3의 질문에서 답이 나올때까지 요구되는
- LLM이 생각보다 무겁다.
- 하다못해 추천 결과 페이지를 보여줬다면 좋을 것 같다.
- 두번째
- 앱에 비슷한 서비스가 있는데 확인해봤나? 일반 주식 관련 앱의 요구사항이나 feature와 유사하다. 실제 내용이 공모주와는 내용 없어 보인다.
- 머신러닝을 쓰는게 목적이 아니라 등장이 좀 쌩뚱맞다.
- → 빅데이터를 사용한다.
- 그렇다면 실제로 데이터를 돌렸을 때 검증이 필요하다. 너무 추상적이고 막연한 접근이다.
승현 코치님
- 첫번째
- 그럼 챗봇이 요청해서 받는거랑 뭐가 다르냐?
- → 관광공사로 현재 데이터로 정확하게 표현 가능
- → LLM으로 챗봇을 만드는게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했다.
- 이게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닌데 매우 복잡하다.
- 뭔가 거창한 것을 써봤다는게 기술적 챌린지가 되긴 어렵다.
- 기술적 챌린지는 이걸 쓰더라도 생긴 트러블이 우리가 가진 지식으로 해결했다는게 중요. ~~를 써봤다. ~~를 써봤다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이건 그냥 따라하기만 해도 가능
- 좀 더 구체적이어야 한다.
- 저번 주제는 공감되는 내용이 아니었다. 당위성이 부족했다. 차라리 범위를 줄여서 발표하는게 낫지 않을까 라고 말한것 1팀하고 비교했을 때, 결과 화면이 한 장이라는 것이 코치진들이 시나리오 파악하기엔 부족하다.
- 아이디어와 시나리오를 구체화했다면 좋겠다. 우리가 말 한 것은 개선이라는 점을 알아뒀으면 한다.
- 우리가 문제로 삼은 것을 개선하여 아이디어와 시나리오를 구체화 하는 방안으로 했으면 좋겠다.
- 기획을 고민하는 기간이니 시간에 쫓기지 않아도 된다.
- 그럼 챗봇이 요청해서 받는거랑 뭐가 다르냐?
- 두번째
- 공모주 추천해주는 다른게(NTS, HTS) 있는데 뭐가 다르냐? 기존에 App들과는 다른 점이 필요하다.
- 클론 코딩인데 기획이 다르다는 것으로 보인다.
- 기술적인 독특함이 필요할 것 같다. 기존 제품들과 차별성이 아쉽다.
- 기술 스택을 나열할 때 수준이 부자연스럽다. 무엇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하게 됐다 라는 것이 필요하다.
현수 코치님
- 첫번째
- 3JS는 두번째 그림의 연장인가?
- 챗봇을 통해 무엇인가를 진행한다고 했는데 그에 대한 예시를 알려달라.
- 관광공사 API에서 서귀포에서 맛집을 검색을 하면 나오는거냐? 아니면 특정 카테고리가 나오냐?
- 태그를 가져오냐 아니면 제목을 가져오냐
- 내용이 구체적이고 볼륨이 더 많아져야 할 필요가 있다.
- → 내가 간 경로를 보여주는 게시판을 보여주는 것을 생각했었고, 카테고리를 여행에만 국한하지 않고 산책과 같은 것을 생각했다.
- 목요일에는 이게 만들어졌다 생각하고 볼륨을 구성했으면 좋겠다. 오늘은 금요일의 연장선상으로 느껴진다.
- 구체화의 필요성
- 기술이 좋은데 보는 사람이 별로라고 생각하면 별로인 아이디어다. 구체화가 너무 안 되어 시나리오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시나리오를 늘려서 더 풍성하게 만들어라. 이 ppt를 가지고는 어떤 시나리오가 그려지는지 잘 모르겠다.
- 두번째
- 머신 러닝에는 어떤 것이 들어가는 것인지?
- 나만무 주제 선정으로 부적절하다. 상업적 목적이 강하고 당위성과 확장성이 부족하다. 개발자 초년생을 위한 회사 추천이 더 목적에 맞는다.
- 나만무 주제 선정엔 우리에게 필요해 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호되게 까이고 기획 자체들이 다 애매하고 추상화가 안된다. 내일 아이디어 추가 발표를 할건데 그 때까지 다시 기획 두 개를 작성해와라 하셨다.
오늘 밤새서 쓸 게 많기 때문에 이 후 아이디어는 내일 작성하기로
학습 시간 : 10 ~ 29시
'크래프톤 정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프톤 정글 week14, day108 - 기획 제목 수정, 피그마 개빡세게 작업 (0) | 2024.04.25 |
---|---|
크래프톤 정글 week14, day107 - 기획안 통과 후 각자 학습 (0) | 2024.04.24 |
크래프톤 정글 week14, day105 - 기획안 피그마에 작성 중 (0) | 2024.04.21 |
크래프톤 정글 week14, day104 - 기획 추가 (1) | 2024.04.21 |
크래프톤 정글 week14, day103 - 기획 1차 컨펌, 2차 회의 (0)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