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rou
- 알고리즘
- defee
- pintos
- 사이드프로젝트
- 크래프톤정글
- Java
- 핀토스
- 리액트
- 모션비트
- JavaScript
- 큐
- 자바스크립트
- 4기
- userprog
- 스택
- 시스템콜
- Flutter
- 정보처리기사
- TiL
- 소켓
- CSS
- 프로그래머스
- Vue.js
- 백준
- 나만무
- 크래프톤 정글
- 자바
- 코드트리
- HTML
- Today
- Total
목록component (2)
문미새 개발일지

react 의 핵심은 re-render(리랜더) 와 Components(컴포넌트)입니다 한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UI 단위 기존에 있던 html을 쪼갠 느낌입니다. html을 통으로 다 작성하면 보기도 힘들고 작성할 때 불편함이 있어 여러 컴포넌트로 나누어 작성하는 것입니다 업데이트 이전의 가상 돔트리와 업데이트 이후 가상 돔트리 상태를 비교하여 업데이트 된 내용이 있다면 컴포넌트를 사용자의 화면에 구성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자 화면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render 함수를 다시 호출하는 것이 Re-render(리랜더)입니다 컴포넌트는 말그대로 부분부분 따로 작업해 붙이는 느낌인데 이렇게 div 구조가 있다 하면 헤더는 헤더 컴포..

이전 글에서 리액트 라이브러리의 기본 설정들을 간단하게 해봤습니다 이번 글에선 설정을 완료하여 웹브라우저를 잘 실행시켜보겠습니다 먼저 React의 기본 주소와 포트는 localhost:3000 입니다 localhost는 본인의 IP주소이며, 3000은 127.0.0.1:3000 입니다 주소는 변경도 가능하여 밑에서 설명하겠습니다 npm i란? node_modules가 없는 상태로 전달되며 git에 있는 클론을 받아도 같은 형태입니다 이런 형태의 파일은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이 있으며 리액트의 모든 기능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package.json의 코드입니다 위에서부터 이 폴더의 이름과 버전, 등등이 작성되있고 dependencies라는 코드는 의존성을 부여한 것으로 node.j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