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새문지

정처기 공부 본문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공부

문미새 2025. 2. 8. 01:11
728x90

자료 사전 표기법

  • = : 자료의 정의
  • + : 자료의 연결
  • () : 자료의 생략
  • [] : 자료의 선택
  • {} : 자료의 반복
  • ** : 자료의 설명(주석)

테스트 유형

블랙박스

  • 동치(동등) 분할 검사(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
  •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Cause-Effect Graphing Testing)
  •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
  • 비교 검사(Comparison Testing)

화이트박스

  • 기초 경로 검사
  • 제어 구조 검사
    • 조건 검사(Condition Testing)
    • 루프 검사(Loop Testing)
    • 데이터 흐름 검사(Data Flow Testing)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xUnit, STAF, FitNesse, NTAF, Selenium, Watir


자료 구조 분류

  • 비선형 구조: 트리, 그래프
  • 선형 구조: 스택, 큐, 데크, 리스트
  • 파일 구조: 순차파일, 색인파일, 직접파일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 내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을 뜻하며,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각 시스템 간의 확정성을 높여준다.


구축 유형

  • Point-to-Point
    • 가장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1:1 로 연결하며, 변경 및 재사용이 어렵다.
  • Hub & Spoke
    • 단일 접점인 허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이며, 확장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만 허브 장애 발생 시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끼친다.
  • Message Bus (ESB 방식)
    •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미들웨어를 두어 처리하는 방식이며, 확장성이 뛰어나고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다.
  • Hybrid
    • 그룹 내에선 Hub & Spoke 방식, 그룹끼리는 Message 방식으로 사용하며, 데이터 병목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동화 도구 설명

  • SREM(Software Requirements Enginering Methdology)
    • TRW사가 우주 국방 시스템 그룹에 의해 실시간 처리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요구사항을 명확히 기술하도록 할 목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RSL과 REVS를 사용하는 자동화 도구
  • PSL/PSA
    • 미시간 대학에서 개발한 것으로 PSL과 PSA를 사용하는 자동화 도구
  • SADT(Structure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
    • SoftTech사에서 개발된 것으로 구조적 요구 분석을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을 채택한 자동화 도구

window 파일 시스템

FAT

  • DOS때부터 사용되던 윈도우의 파일시스템
  • 저용량에 적합, 호환성이 좋음,  저장가능한 파일의 최대크기가 4GB

NTFS

  • FAT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윈도우 파일 시스템
  • 사용자마다 다른 보안 적용 가능 즉 보안이 FAT보다 뛰어남
  • 대용량 저장 가능 및 안정성이 뛰어남
728x90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공부  (0) 2025.02.03
정처기 오답 풀이  (0) 2025.01.27
정처기 공부  (0) 2025.01.21
정처기 공부  (0) 2025.01.21
정처기 오답 풀이 - 1  (0) 2025.01.12